- 연구목표
- 암의 발생, 진화, 전이, 재발․악성화 원인에 대한 분자․세포생물학적 이해를 기반으로 새로운 치료전략을 발굴․제시하여 암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함
암분자생물학연구과
연구내용
- 암의 생화학 및 분자 생물학 연구 (연구책임자: 김수열)
-
-
암의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연구 암의 발생, 증식, 전이, 약내성 등에 관한 현상을 생화학적 연구 기법을 이용하여 분자수준에서 그 기전을 밝힘으로서 암 치료에 기여하도록 함
- · 암의 분자적 이해 연구: 암 억제인자 조절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연구
- · 염증과 암의 관계 연구: 염증성 전사인자의 암의 기여 메커니즘 연구
- · 암 표적 효능 평가 연구: 국가 표준적 다양한 평가 방법 구축 및 보급
- · 암 치료제 개발 연구: 새로운 표적 발굴 및 효능평가 (POC)를 통한 암 치료제 개발의 가교 역할
-
암의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연구 암의 발생, 증식, 전이, 약내성 등에 관한 현상을 생화학적 연구 기법을 이용하여 분자수준에서 그 기전을 밝힘으로서 암 치료에 기여하도록 함
- 암의 분자적 진단, 단클론항체 제작 및 조직면역화학염색 (연구책임자: 홍경만)
-
-
암세포의 분자적 변화를 이용한 translational research
- · 암세포 DNA의 카피수 변화를 포함한 민감한 분자적 진단방법의 개발
- · 항암제 내성과 암환자의 예후와 관련된 분자적 변화의 검출 및 translational research
- · 단클론 항체의 생산과 조직면역화학염색을 통한 진단표지자 개발
-
암세포의 분자적 변화를 이용한 translational research
- 암 대사 작용과 autophagy(자가포식) 기전연구를 통한 새로운 항암 표적경로 규명 (연구책임자: 정희선)
-
- 암화 과정에서 거대분자물 (macro-molecule) 분해작용과 암 특이적 대사 변화와의 상호 조절 연구
- 암 특이적 에너지 대사 재구성 작용 및 조절 기전 연구
- 암의 악성화에 autophagy(자가포식) 관련 분자들의 역할과 조절 기전연구
- RNA결합-수식단백질과 종양RNA 상호작용에 의한 암분자생물학 메커니즘 연구 (연구책임자: 김종헌)
-
-
종양RNA (oncogenic RNA) - 암 리보핵산 조절단백체 (Ribomodulome) 상호작용에 의한 암의 발생, 악성화, 재발, 분화조절기전 연구
- · 종양 마이크로RNA (oncomiR) 생성-분해 핵심 RNA 결합-수직단백질 (RNA-binding proteins & RNA modifiers) 에 의한 암의 악성화 연구
- · 종양 마이크로RNA sensing 시스템을 이용한 항암 저해제의 repositioning 및 대규모 탐색
- · 암 리보핵산 조절단백체에 의한 종양RNA의 활성변화-암의 악성화 영향 추적
- · 간세포암 (hepatocellular carcinoma) 유발 C형 간염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증식 핵심분자기구 발굴, 신호전달 연구, 항암-항바이러스 표적화 전략
- · 췌장암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에서 전사 후 조절, 암분화유도, autophagy 조절을 통한 신규 항암전략 연구
- · 뇌척수전이암의 뇌척수액 exosomal small RNA 전장분석을 통한 바이오마커 발굴 및 신규 항암전략 연구
- · 리보스위치 툴킷 (Riboswitch toolkit)을 이용한 신규 항암전략 연구
- · Epitranscriptomics 핵심신규분자 발굴 및 종양 악성화 신호전달 연구
-
종양RNA (oncogenic RNA) - 암 리보핵산 조절단백체 (Ribomodulome) 상호작용에 의한 암의 발생, 악성화, 재발, 분화조절기전 연구
- 희귀암(두경부암, 육종, 흑색종 등) 및 위암의 항암치료, 중개연구 (연구책임자: 최원영)
암전이연구과
연구목표
- 암 사망의 주요 원인인 암 전이와 재발의 원인 분자의 기전 규명 과 치료 타겟을 발굴하여 난치암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함
-
- 세포의 성장, 이동, 순환, 정착하는 전이 과정의 조절 기전을 규명하고, 조절자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함으로써 암전이 억제제 개발 전략 수립
- 암 전이과정에서 암세포의 특이성과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규명하여 새로운 표적을 기반으로 하는 치료전략 발굴
- 암세포의 다양성, 암세포의 특이성, 암전이의 복잡성 등으로 인한 악성화 진행 및 전이 기전 규명
- 세포사멸 내성, 침윤, 면역회피, 매트릭스분해, 혈관생성능 등의 증가로 인해 새로운 형질을 획득하는 악성화 과정과 전이성 암세포로 변화 과정 규명
연구분야
- 암전이 촉진 표적 발굴 및 기전 연구
- 순환종양세포의 전이유발의 특성 기전 연구
- 암세포의 운동성과 침윤성 조절 인자 기전 연구
- 암전이와 암 재발의 공동 조절자 기전 연구
- 암전이 동물모델 개발 및 억제 물질 개발 연구
- 전통의학의 분자생물학적 항암 근거 및 표준치료 병용 연구
연구내용
- 암 전이 관련 세포내 단백질 연결 회로망 확립 및 기전 연구 및 고온온열 치료 (hyperthemia)를 응용한 천연 및 기존항암제 치료 증진 효과 개발 연구 (연구책임자: 노승배)
-
-
고형암에서 암 침윤, 신생혈관형성, 전이의 세포내 분자적 기전 연구
- · 전이암에서의 신생혈관형성 억제 효과 분석, 분자 치료제 개발형성 및 침윤 연구
- · NMR system을 이용한 약물 구조 효능 검증 및 동물모델 확립
- ·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을 이용한 세포내 연결망 확립
-
고형암에서 고온온열 치료 (hyperthemia)를 응용한 천연 및 기존항암제 치료 증진 효과 개발 연구
- · 고주파온열암 치료에 관한 세포내 적정온도 및 천연 약물 신호전달체계 확립
- · 기존항암제를 이용한 보조적 고온온열 치료방법의 병행 효능 향상 연구
-
고형암에서 암 침윤, 신생혈관형성, 전이의 세포내 분자적 기전 연구
- 암전이 동물모델과 순환종양세포를 이용한 암전이 원인유전자/단백질 기능규명과 전이 억제 타겟 발굴 (연구책임자: 김용연)
-
- 순환종양세포의 전이특성 분석 및 원인 유전자 기능 규명
- 전이 특성 타겟 분자 발굴 및 전이 동물모델과 임상에서 유용성 평가
- 전통의학 기반 암전이 억제제 발굴과 작용 기전/전이 동물모델에서 유용성 평가
- 사람의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암의 발생과 전이에 관련된 새로운 표적이 되는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굴 및 동정 (연구책임자: 고성호)
-
- 생체물질정보를 기반으로 한 분자수준의 병인 분석 및 병용치료전략 연구
- 전이와 치료내성에 관련된 신규유전자 중심의 신호전달 경로의 탐색
- 예쁜꼬마선충 모델을 이용한 암 전이 연구 (연구책임자: 심재갈)
-
- 선충 발암모델을 이용하여 항암 물질의 탐색과 기전 연구
- 암 성장과 전이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발굴과 기능 연구
- 삼차원 배양 기반의 암침윤 기전 연구와 천연물질 기반의 암세포사 유도 물질 발굴 연구 (연구책임자: 윤경실)
-
- 생체 내 암미세환경을 모사한 삼차원 배양 조건에서 암세포사를 유도하는 한약재 혹은 자생식물 유래 천연물질 발굴 및 기전 탐색
- 암세포의 침윤을 유도하는 핵심 조절인자를 삼차원 공배양 조건에서 발굴 및 기전 연구하여 침윤 억제 타겟 제시
암발생연구과
연구목표
- 암 발생 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연구함으로써 암 예방 및 암 치료법 개발의 기반 마련
- 세부목표
-
- 발암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DNA 손상에 대한 세포 반응 메커니즘 규명
- 유전체 불안정성(genomic instability)에 의한 암 발생 메커니즘 분석 및 이를 활용한 효율적인 치료법 개발
- 암 악성화 과정에 관여하는 핵심 인자의 발굴 및 그 조절 기전의 규명을 통한 신규 항암 표적 연구
연구분야
- 암은 세포 내 유전자의 변화로 정상 세포가 제어 불가능하게 증식하여 발생하는 것임.
- 정상세포에서는 유전체 복제 과정에서의 오류 또는 DNA 손상을 야기하는 외부 물리적, 화학적 인자에 의하여 유전체에 손상이 유도되면, 손상 복구 또는 손상된 세포 제거를 통하여 암 발생을 억제함.
- 정상세포에서 일어나는 DNA 손상 복구 과정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돌연변이의 축적에 의하여 암세포가 생성됨.
- DNA 손상반응과 복구의 결핍, 혹은 조절 장애는 유전자 돌연변이 발생확률이 높아지는 현상인 ‘유전체 불안정성’을 야기하여, 암 발달과 진행, 전이로 이어짐.
- 암세포는 DNA 손상 복구 관련 단백질 인자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암세포의 증식을 도모하기 위하여 특정 생화학적 경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음.
- 최근, 이러한 비정상적 의존성을 역이용하여, DNA 손상복구기전을 표적으로 하는 고효율의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임. (대표적 예: 유방암, 난소암 등의 치료제로 각광받는 PARP 저해제)
- 암발생연구과에서는 암 예방과 암 치료를 위한 정밀의학 실현에 일조하고자, DNA 손상에 대한 세포 반응, ‘유전체 불안정성’과 연관된 유전자 기능, 암세포 증식과 침윤 과정과 관련된 중심체(centrosome) 형성 인자, WNT 신호전달 체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임.
연구내용
- Fanconi anemia (FA) DNA 손상 신호체계의 단백질 상호작용과 신규 기능 규명 (연구책임자: 이창헌)
-
- FA DNA 손상 신호체계와 암대사 과정과의 연관성 연구
- FA DNA 손상 신호체계 관련 메카니즘의 교란을 통한 항암 효과 검증
- 암의 성장 및 전이 표지 암세포주를 확립하여 CRISPRi/CRISPRa 스크리닝을 통한 암악성화 연관 인자 발굴 (연구책임자: 배영기)
-
- 유전자 재조합 및 편집을 시도한 암세포의 3-D hybrid 세포 모델을 이용한 표적 인자의 기능 규명
- DNA 손상반응 및 복구에 필요한 새로운 유전자 동정 및 기능 연구를 통한 신약 표적후보 도출 (연구책임자: 이경용)
-
- 다양한 DNA 손상복구과정 및 관련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합성 치사 (synthetic lethality) 모델 확립과 항암치료법에의 활용
- DNA 손상에 대한 신호전달과정에서 단백질 인산화, 유비퀴틴화 등 단백질 변형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이 암종별 돌연변이 양상 (mutational signature)에 미치는 영향과 암 발달과의 상관성 규명
- 유전체 항상성에 필요한 새로운 기전 발굴 및 발암과의 관련성 입증
- 세포주기에서 조절되는 염색체 복제와 DNA 손상반응 간의 상호작용과 암세포 증식의 관계 규명
암미세환경연구과
연구목표
- 암미세환경 내 암세포의 악성화에 중요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요소 규명
-
- 암조직내 암세포의 악성화를 유도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
- 암세포의 악성화에 기여하는 환경적 요인과 조절 기전 도출
- 암미세환경 요인을 겨냥한 새로운 항암전략 근거 확보
-
- 암세포의 악성화에 기여하는 환경적 요인과 방식에 기초하여 표적항암제를 넘어서는 암발달/제어방법 도출
- 환경에 따른 암세포 생존/변성 기전 제어를 통해 표적치료가 어려운 희귀암 및 난치암등 대상 새로운 항암전략 제시
- 기존 항암제와 병용가능 한 새로운 항암전략 도출과 치료효과 개선
연구분야
- 면역조절 사이토카인 및 신호전달 체계의 규명 및 저해치료법 개발연구
- 암화 및 악성화 과정에서 면역회피를 유발하는 암미세환경 변이 및 면역세포 이상 기전 규명
- 암미세환경 역동적 상호작용의 모니터링을 위한 형광조영제 등 영상법 개발
- 화학적 물리적 환경 조절에 의한 항암전략 개발
- 암조직 내 저산소성, 산성도(pH) 조절에 의한 암 치료 전략 연구
연구내용
- 암미세환경내 세포간 상호작용을 통한 암 악성화 제어 기전 연구 (연구책임자: 유혜진)
-
- 종양 신호계 제어기전을 활용한 암미세환경내 세포간 상호작용 제어연구
- 대장암 동소위 이식 모델을 활용한 암미세환경 요인 규명 및 제어 기전 규명
- 희귀암 미세환경내 면역세포 군집 동정 및 분석을 통한 치료전략 도출연구
- 암미세환경내 다양한 면역세포의 핵심기능 저하 메커니즘 규명 연구 (연구책임자: 채창석)
-
- 암미세환경내 면역억제 요인 발굴 및 연구 (소포체 스트레스, 활성지질등)
- 암미세환경의 정밀분석 (단일세포 RNA-seq 및 면역 표현형 분석)
- 차세대 암백식 플랫폼 개발 및 최적의 면역치료법 적용
- 암미세환경내 면역세포들의 특성 및 항암면역조절반응 연구 (연구책임자: 박은정)
-
- Orthotopic xenograft mouse model system을 이용한 면역세포들의 특성 규명
- 암 미세환경내 면역세포들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in vivo/ex vivo 연구